전체 글82 OS공부 1. OS란 사용자가 컴퓨터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여러 프로그램의 모임이다. 반대로 OS랑 비슷은 하지만 소프트웨어를 추가하지 못하는 것을 펌웨어라고 한다 2. OS의 역할 1. CPU 스케줄링 및 프로세스 관리 : CPU 소유권을 어떤 프로세스에 할당할지, 프로세스의 생성, 삭제, 자원 할당 및 반환 관리 2. 메모리 관리 : 한정된 메모리를 어떤 프로세스에 얼마만큼 할당해야 하는가 3. 디스크 파일 정리 : 디스크 파일을 어떠한 방법으로 보관할지 4. I/O 디바이스 관리 3. 운영체제 구조 GUI(CUI), 시스템콜, 커널, 드라이버로 구성 GUI : 사용.. 2023. 4. 27. 오랜만에 글을 쓰는... 몇 주 만에 글을 쓰는... 마지막 글과 오늘까지의 사이에서 참 바쁜 일들이 너무 많았다. 소마에 붙어 소마활동을 하리... 멘토링을 듣고... 팀도 구하고.... 거기에 더불어 몸도 아파져 꽤나 쉬게 되었다. 멘토링때 들은 수업을 블로그에 올릴까 하다가, 멘토님들의 수업을 남들에게 공유하지 말라는 글을 보고 애매해서 올리질 않고 있다. 나중에 따로 내가 나만의 방식으로 추가적으로 공부해서 정리해 올리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다. 사실 시간이 없어 쫓기듯이 이러고 있기는 한데, 그동안 알고리즘 문제는 꾸준히 풀었다.... 이것을 천천히 올릴까 한다. + CS도 네이버 코테... 최근 네이버 공채에서 코테를 봤었다. 그 때 너무 긴자을 했는지 몸이 망가지기 시작했는데, 참 아쉬웠었다. 1, 2 번을 풀고, .. 2023. 4. 25. [Baekjoon - 22862] 가장 긴 짝수 연속한 부분 수열 (large) with Python 주저리 주저리 투 포인터 문제 중 대표적인 문제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이런 유형의 문제는 꼭 풀어봐야 생각하는게, 만약 코테에 이런 문제가 나올 시 이것이 투포인터 인지 아닌지 애매해서 못 풀수도 있을 거 같다라는 생각을 든다. 다들 알다시피 투 포인터는 대충 두 점을 같은 위치에서 시작하느냐 or 양 끝으로 시작하느냐의 문제가 대부분인 듯 하다. 난 개인적으로 같은 위치에서 시작을 하는 경우는 이제 특정 조건에 만족하는 길이를 구할때의 문제에 적용하고, 양 끝은 이제 양 끝에서 부터 접근해서 풀면 쉬울것 같다(?) 라고 판단시에 푸는 듯 한다. 문제 해결 이 문제는 k개의 원소를 지워 가장 긴 짝수 의 수열을 만드는 것이다. 그럼 당연하게도... 지우는 원소는 뭐가 되겠는가 => 홀수다 그래서 이 문.. 2023. 4. 25. 세마포어 vs 뮤텍스 참고 영상 우아한테크의 10분 테코톡 와일더의 Mutex vs Semaphore를 보고 정리해 보았습니다. 아래 영상은 꼭 봐주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oazGbhBCOfU 사전 지식 교착 상태 두가지 이상의 작업이 서로 상대방의 작업이 끝나기를 하염없이 기다리는 상태 예를 들어 A, B가 존재하고, 각각 연필과 종이를 가져갔다 가정해보자. (점유) 그러나 필기를 위해서는 둘다 필요하니 A와 B는 각각 종이와 연필을 요청한다.(대기) 당연히 A, B는 필기를 위해 줄 수 없으니 자원을 요청하지만 이 요청을 무한히 대기하는 상태를 교착상태라한다. 연필과 종이는 공유자원이라 한다. 이런 공유 자원이 속해 있는 공간은 임계영역이라 한다 임계 영역 : 교착 상태가 발생 가.. 2023. 4. 3. 이전 1 ··· 4 5 6 7 8 9 10 ··· 2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