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13 DNS 계층 구조 DNS란 Domain Name Space의 약자이다. 우리는 네트워크 상에서 Host를 식별하기 위해 IP주소를 사용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우리는 도메인 이름으로 사이트에 접속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 또한 최종적으로는 IP 주소랑 매핑이 되어야만 한다. 그래서 이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해석을 해주는 DNS가 나오게 되었다. DNS는 보통 패킷의 사이즈가 매우 작아 loss 발생이 적기에 UDP로 빠르게 보낸다고 한다. ( loss 되어도 단순 접속을 위한 시도이니 다시 시도하면 된다. ) 다만 큰 패킷을 보내거나 Zone Transfer 시에는 신뢰성 있는 전송이 필요해 TCP로 전송한다고 한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공부해 보겠다.) 역할 1) 호스트에게 별칭을 줄 수 있다. ex) rela.. 2023. 6. 6. Packet Delay(패킷 지연) 4가지 요인들 개념 네트워크 상에서 패킷 전송시에는 일반적으로 걸리는 시간으로 우리가 체크한다면 보내는 패킷의 사이즈 / 대역폭 (패킷 크기가 엄청 큰 것을 허용하거나 윈도우 사이즈가 무한히 크거나...)로 계산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현실에서 저런 시간이 가능한가? 불가능하다라고 말할 수 있다. 그 이유로는 여러 요인들이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패킷이 출발지점에서 목적지까지 가는 시간을 지연(delay)라고 한다. 이 지연의 4가지 종류로는 Transmission Delay (전송 지연) Propagation Delay (전파 지연) Nodal Processing Delay (노드 처리 지연) Queue Delay (큐 딜레이) 가 있다. 1. 전송 지연 ( Transmission Delay.. 2023. 6. 5. 인코딩이란? 인코딩 (Encoding) 사람이 인지가능한 문자(언어)를 약속된 규칙에 따라 컴퓨터가 이해 가능한 언어인 (0과 1)로 이루어진 코드로 바꾸는 작업을 통틀어 말한다고 한다. 즉 정해진 규칙에 따라 코드화, 암호화, 부호화 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인코딩을 하는 이유는 정보의 형태의 표준화, 보안, 저장 공간 절약 등을 위해서 라고 한다. 종류로는 크게 문자 인코딩, 사진 & 오디오 & 비디오 인코딩 이렇게 나누어 진다고 한다. 내가 추가적으로 생각하는 바 위에서는 정의할 때 암호화? 이 부분이 마음에 걸렸다. 왜냐하면 암호화, 보안 관련은 말 그대로 암호화가(encryption) 책임진다. 그래서 둘의 차이에 대해 알아봐야 한다. 인코딩은 일단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데이터를 컴퓨터가 인지 가능한 데이.. 2023. 5. 30. OS공부 1. OS란 사용자가 컴퓨터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여러 프로그램의 모임이다. 반대로 OS랑 비슷은 하지만 소프트웨어를 추가하지 못하는 것을 펌웨어라고 한다 2. OS의 역할 1. CPU 스케줄링 및 프로세스 관리 : CPU 소유권을 어떤 프로세스에 할당할지, 프로세스의 생성, 삭제, 자원 할당 및 반환 관리 2. 메모리 관리 : 한정된 메모리를 어떤 프로세스에 얼마만큼 할당해야 하는가 3. 디스크 파일 정리 : 디스크 파일을 어떠한 방법으로 보관할지 4. I/O 디바이스 관리 3. 운영체제 구조 GUI(CUI), 시스템콜, 커널, 드라이버로 구성 GUI : 사용.. 2023. 4. 27. 이전 1 2 3 4 다음 728x90